만들다가 겪은 오류들 !

1. 텍스트 그라디언트 적용 안 됨 !

✅ **텍스트는 기본적으로 "선택 가능한 글자" 상태(라이브 텍스트)**라서,
그라디언트를 직접 적용할 수 없음!

 

✅ 해결 방법: 텍스트를 ‘도형(패스)’으로 바꾸기

  1. 텍스트 선택
  2. 상단 메뉴에서 Object → Expand 또는 Type → Create Outlines (Ctrl + Shift + O)
  3. 이제 글자가 벡터 도형이 됨!
  4. 이 상태에서 그라디언트 툴(G)로 드래그하거나 그라디언트 패널에서 적용하면 OK!

🔥 꿀팁: 라이브 텍스트 유지하면서 그라디언트 적용하는 방법

  1. 텍스트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2. Appearance 패널 (Shift + F6) 열기
  3. 오른쪽 상단 메뉴 → Add New Fill
  4. Fill에 그라디언트 적용
  5. 글씨는 수정 가능하면서도 그라디언트도 적용됨! (진짜 유용함!)

2. 그라디언트를 입힌 도형에 투명 그라디언트를 어떻게 또 입히지?

(사진 속 화살표 모양의 그라디언트)

 

 

✅ 방법 1. Opacity Mask (불투명도 마스크) 사용하기 ← 가장 확실한 방법!

  1. 🎨 기본 도형에 색상 그라디언트 적용
    예: 주황 → 분홍 이런 느낌으로 먼저 칠해줘
  2. 🧼 같은 크기의 흑백 그라디언트 도형 만들기
    • 흰색 → 검정으로 되는 Linear Gradient
    • 흰색 = 완전 불투명 / 검정 = 완전 투명
  3. 🎭 두 개 도형 모두 선택
  4. Transparency 패널 열기 (단축키: Shift + Ctrl + F10)
  5. 오른쪽 메뉴 → "Make Opacity Mask" 클릭

✨ 이제 색상 그라디언트는 유지하면서,
검정-흰색 그라디언트로 투명도가 자연스럽게 먹힌 도형 완성!


✅ 방법 2. Appearance 패널로 여러 Fill 쌓기

  1. 도형 선택 → Appearance 패널 열기 (Shift + F6)
  2. 오른쪽 메뉴 → Add New Fill
  3. 아래 Fill에는 컬러 그라디언트,
    위 Fill에는 흰~검 그라디언트를 주고 → Blending Mode를 Opacity로 조절하거나
  4. 두 Fill을 마스크 느낌으로 조합

→ 복잡하지만 한 도형 안에서 표현하는 기법이라 깔끔함


3. 레이어에 다른 레이어들이 사라졌다 ! 

✅ 1. 다른 레이어가 숨겨져 있을 수 있어

  • 레이어 패널 (F7) 열기
  • 각 레이어 옆에 있는 👁️(눈 아이콘)이 꺼져있다면 → 클릭해서 다시 보이게 하기

✅ 2. 레이어는 있는데 “서브레이어”가 안 보이는 경우

  • 레이어 옆에 ▶ 아이콘(접혀있는 상태)이면 → 클릭해서 펼치기
  • 각 오브젝트가 하위 계층에 숨어있을 수 있음

✅ 3. 레이어는 있는데 화면에 아무것도 안 보이는 경우

  • 선택 도구(V)로 전체 화면 드래그 → 아무것도 선택 안 되면
    • 해당 레이어가 잠겨 있음 🔒
      → 레이어 옆에 🔒 자물쇠 아이콘 있으면 클릭해서 잠금 해제
    • 또는 오브젝트가 아트보드 바깥에 있음 → Ctrl + 0 (아트보드 맞춤 보기)
      → Ctrl + A (전체 선택) 해서 뭐라도 잡히는지 확인

✅ 4. 오브젝트는 있는데 레이어 창에 아무것도 안 보이는 경우

  • 정말 사라졌다면, Ctrl + Z (실행 취소) 여러 번 눌러서 돌아갈 수 있어
  • 또는 Window > History 열어서 작업 이력 확인

✅ 5. 최악의 경우

  • 저장 전이라면 → File > Revert로 저장된 마지막 버전 복구 가능
  • 저장 후라면… 🥲 백업 파일 없으면 수동 복원해야 할 수도 있어

✅ 6. 마스크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오른쪽 마스크가 아닌 왼쪽 마스크를 클릭해야 원래의 레이어로 돌아옴


4. 효과 preview가 안 된다 !

🛠️ 1. [Preview] 체크 안 됨

  • Effect > Stylize > Outer Glow 창에서
    아래쪽에 있는 "Preview" 체크박스가 꺼져 있으면 미리보기 안 됨!
  • ✔️ 반드시 체크되어 있어야 적용 전 상태를 바로 볼 수 있어요!

🧼 2. 오브젝트가 “투명도 없음 + 흰색”일 때

  • 외곽선/글자가 하얀색이거나 배경이 흰색일 경우,
    Outer Glow가 먹었어도 눈에 안 보여!
  • 💡 확인 방법:
    • 오브젝트 색을 어둡게 바꾸거나
    • 아트보드 뒤에 어두운 네모(배경색) 깔아보기

⚙️ 3. GPU 가속 or 화면 표시 오류

  • 환경설정에서 GPU 렌더링 문제가 생기면 일부 효과 미리보기가 안 될 수 있음

해결법:

  1. Edit > Preferences > Performance
  2. GPU Preview → 끄거나 켜보기
  3. 또는 View > Preview on CPU (Ctrl + E)로 전환해보기

🔁 그래도 안 보이면?

  • Appearance 패널 열어서 진짜 효과 적용됐는지 확인해보기
  • Effect > Document Raster Effects Settings에서 해상도 낮으면 흐릿하거나 안 보일 수 있음!
    → 72dpi → 150dpi or 300dpi로 올려보기

5. 마스크 적용된 오브젝트 이동시 깨지거나 마스크가 엉뚱하게 적용된다 !

💥 왜 그런가?

Illustrator에서 **Opacity Mask(투명 마스크)**는
기본적으로 **"좌표 고정"**으로 적용돼 있어.

즉, 오브젝트를 이동하면 마스크는 고정된 채로,
오브젝트만 움직여서 마스크 효과가 어긋나거나 깨지는 것처럼 보이는 거야.


✅ 해결 방법

방법 ①: 마스크와 함께 움직이게 설정

  1. Transparency 패널 열기 (Shift + Ctrl + F10)
  2. 패널 오른쪽 위 메뉴 클릭 (작은 햄버거 아이콘)
  3. "Clip"과 "Invert Mask" 아래에 있는 → [Link] 체크하기!

✅ 이거 체크하면 오브젝트와 마스크가 함께 이동하게 돼서 안 깨져!


방법 ②: 마스크 깨졌으면 다시 설정

  1. 마스크 적용된 레이어 선택
  2. Transparency 패널에서 Release 클릭 → 마스크 분리
  3. 위치 조정한 뒤 다시 Make Opacity Mask로 재적용

📌 추가 팁

  • Opacity Mask는 레이어 전체에 줄 수도 있고, 오브젝트 하나에도 줄 수 있음.
    → 레이어 단위인지 오브젝트 단위인지 잘 확인해봐!
  • 마스크 안에 있는 오브젝트를 편집하려면
    Transparency 패널에서 → 오른쪽 사각형 클릭 (마스크 진입)
    → 나올 땐 왼쪽 사각형 클릭

6. 넣은 효과 수정하기 !

✅ 1. 효과 수정하려는 오브젝트 선택


✅ 2. Appearance 패널 열기

  • 단축키: Shift + F6
  • 또는 상단 메뉴 → Window > Appearance

✨ 이 패널에서 지금 오브젝트에 적용된 모든 효과, 스트로크, 필, 불투명도, 그라디언트 등을 한눈에 볼 수 있어.


✅ 3. 수정할 효과 클릭

예: Outer Glow, Drop Shadow, Transform, Gaussian Blur 등이 보임
→ 해당 효과 항목 이름을 클릭하면 설정창 다시 뜸!
→ 원하는 값 수정 후 OK 누르면 바로 적용


💡 추가 꿀팁

● 효과 삭제하고 싶으면?

  • Appearance 패널에서 해당 효과 옆에 있는 쓰레기통 아이콘 클릭하면 됨

● 여러 효과를 동시에 관리하려면?

  • Add New Effect 클릭해서 다른 효과도 레이어처럼 쌓을 수 있어!

❗주의사항

  • 효과 수정은 반드시 Appearance 패널에서 해야 유지되고 비파괴적으로 적용됨!
  • Object > Expand Appearance 하면 효과가 벡터로 바뀌어서 수정 불가 상태가 됨

 

[AE 효과 정리] Distort(왜곡) 카테고리 완전 정복

왜곡 효과로 모션그래픽에 생명력을 더하자!

에프터 이펙트(After Effects)에는 수많은 이펙트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Effect > Distort" 카테고리는 이름 그대로 **오브젝트나 레이어를 왜곡(변형)**시키는 효과들이 모여 있는 곳이에요. 이 효과들을 잘 활용하면 단순한 모션에도 리듬감과 생동감을 불어넣을 수 있답니다.

오늘은 Distort 카테고리의 주요 효과들을 정리하고, 어떤 상황에 쓰면 좋은지 간단한 팁도 함께 소개할게요!


✅ 자주 사용하는

Distort 효과 모음

이미지로 보는 AE Distort 효과 예시 (모두 동일한 정사각형 로고 또는 텍스트 기준 예시)

  1. Bulge – 중앙이 볼록 튀어나온 느낌
  2. Twirl – 중심에서 소용돌이처럼 회전
  3. Turbulent Displace – 유기적으로 흐트러짐
  4. Wave Warp – 물결 치는 듯한 움직임
  5. Corner Pin – 네 모서리 비틀기 (TV 합성 느낌)
  6. Displacement Map – 배경을 따라 왜곡된 형태
  7. Polar Coordinates – 원형으로 휘어진 구조
  8. Zig Zag – 가장자리 지그재그로 일그러짐

바로 이미지 만들어볼게요. 잠깐만 기다려주세요.

1. Bezier Warp

  • 설명: 레이어를 4개의 커브(Bezier 곡선)로 자유롭게 왜곡 가능
  • 활용: 간단한 구부림 표현, 자유 형태 변형

2. Bulge

  • 설명: 특정 영역을 볼록하게 부풀리거나 오목하게 만듦
  • 활용: 눈 튀어나오게 만들기, 캐릭터 리액션 강조

3. Displacement Map

  • 설명: 다른 레이어의 픽셀 정보를 이용해 왜곡 적용
  • 활용: 글리치 효과, 물결 표현, 카메라 왜곡 느낌

4. Liquify

  • 설명: 포토샵의 리퀴파이처럼, 브러시로 형태를 유기적으로 조절
  • 활용: 얼굴 변형, 자연스러운 찌그러짐 효과

5. Mesh Warp

  • 설명: 그리드 형태로 오브젝트를 세밀하게 변형 가능
  • 활용: 얼굴 애니메이션, 곡면 표현 등 고급 작업에 사용

6. Turbulent Displace

  • 설명: 텍스처에 난류처럼 뒤틀리는 왜곡 적용
  • 활용: 불, 물, 연기, 마법 등 자연 현상 표현

7. Wave Warp

  • 설명: 레이어에 반복적인 파동을 주는 효과
  • 활용: 깃발 펄럭임, 물결 애니메이션

🌀 After Effects Distort(디스토트) 효과 총정리

Distort는 AE에서 레이어를 "왜곡"시키는 효과들을 모아놓은 카테고리입니다. 아래는 Distort에 포함된 모든 기본 효과 리스트와 핵심 설명입니다.


📦 Distort 카테고리 전체 효과 목록 (정렬순 기준)

효과 이름설명
Bezier Warp 4개의 곡선을 이용해 부드럽게 변형
Bulge 특정 영역을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만듦
Corner Pin 네 모서리를 개별 조절해 레이어 기울이기
Displacement Map 다른 레이어의 밝기 값으로 왜곡 적용
Liquify 브러시로 직접 찌그러뜨리는 유기적 왜곡
Magnify 확대 효과 (돋보기처럼 중심 확대 가능)
Mesh Warp 세부 그리드로 왜곡 조절 가능
Mirror 특정 축을 기준으로 반사 효과
Offset 레이어를 반복 이동 (스티커처럼 밀리게 함)
Optics Compensation 렌즈 왜곡처럼 주변을 휘게 함 (Fisheye 효과 등)
Polar Coordinates 직각 좌표 ↔ 원형 좌표 변환 (예: 소용돌이)
Ripple 잔잔한 물결 효과
Smear 클릭한 두 지점을 기준으로 형태를 당김
Spherize 구형으로 왜곡 (비눗방울처럼)
Transform 위치, 회전, 크기 등 수치로 왜곡 가능 (기본 transform과 다름)
Turbulent Displace 난류 형태의 복잡한 왜곡 효과
Twirl 회오리처럼 꼬아주는 왜곡
Wave Warp 물결 형태의 반복 파동 주기
Zig Zag 가장자리를 지그재그 형태로 변형

다음엔 Stylize나 Generate 같은 다른 이펙트 카테고리도 정리해볼게요!
궁금한 효과나 직접 써보고 싶은 예제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물론이죠! 아래는 프리미어 프로에서 분할 화면 레이아웃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블로그 초안입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 맞게 말투는 설명형으로, 중간중간 소제목을 넣어 구성했어요. 필요하다면 말투를 더 친근하게 바꿔드릴 수도 있어요.


프리미어 프로로 분할 화면 레이아웃 만들기 🎬

영상 편집을 하다 보면 두 개 이상의 영상을 동시에 보여줘야 할 때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비교 영상, 반응 영상, 콜라보 영상에서 자주 사용되죠. 이런 작업을 할 때 유용한 기능이 바로 분할 화면(Split Screen)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프리미어 프로에서 분할 화면 레이아웃을 만드는 기본적인 방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


1. 프로젝트에 영상 클립 가져오기

먼저, 편집할 두 개 이상의 영상 클립을 프로젝트 패널에 불러옵니다.
File > Import 또는 단축키 Ctrl + I를 이용해 쉽게 불러올 수 있어요.

가져온 클립은 타임라인에 영상 개수만큼의 비디오 트랙에 배치합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영상을 분할하려면 V1, V2에 각각 하나씩 배치하면 됩니다.


2. 각 클립의 위치 조정하기 (Effect Controls)

분할 화면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 영상의 크기와 위치를 조정해야 합니다.

  1. 타임라인에서 편집할 클립을 선택합니다.
  2. Effect Controls 패널로 이동합니다.
  3. Motion > Position과 Scale 항목을 조정하여 원하는 위치와 크기로 배치합니다.

예를 들어,

  • 왼쪽 영상: Position: 640, 540, Scale: 50
  • 오른쪽 영상: Position: 1280, 540, Scale: 50
    (기본 시퀀스 설정이 1920x1080일 경우)

이렇게 하면 좌우 2분할 화면을 만들 수 있어요.


3. 세로 분할, 4분할 등 다양한 레이아웃 만들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분할 화면도 가능해요.

📌 세로 2분할

  • 위쪽 영상: Position: 960, 270, Scale: 50
  • 아래쪽 영상: Position: 960, 810, Scale: 50

📌 4분할 (2x2)

네 개의 클립을 각각 V1~V4에 배치한 후, 아래처럼 설정합니다.

  • 좌측 상단: Position: 640, 270, Scale: 50
  • 우측 상단: Position: 1280, 270, Scale: 50
  • 좌측 하단: Position: 640, 810, Scale: 50
  • 우측 하단: Position: 1280, 810, Scale: 50

이렇게 하면 한 화면에 네 개의 클립을 동시에 보여주는 4분할 화면이 완성됩니다.


4. 경계선 추가 팁 (Optional)

분할된 영상 사이에 구분선을 넣고 싶다면, Essential Graphics 패널에서 **사각형 도형(Rectangle)**을 추가하거나,
Color Matte를 만들어 얇은 선 형태로 배치해주면 깔끔한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5. 최종 미리보기 & 내보내기

편집이 완료되었으면, Enter 키로 렌더링 미리보기를 해보고
문제가 없다면 File > Export > Media를 통해 최종 영상 내보내기를 하면 끝입니다!


마무리 🎥

분할 화면은 간단하지만 활용도가 아주 높은 레이아웃이에요. 다양한 클립을 동시에 보여줘야 하는 유튜브 영상이나 SNS 콘텐츠에 매우 유용하니, 꼭 한번 시도해보세요!

다음 글에서는 분할 화면에 전환 효과나 테두리 애니메이션을 넣는 법도 소개할 예정이니 기대해주세요 :)


필요하다면 여기에 스크린샷 예시나 GIF를 넣으면 더 보기 좋을 거예요. 혹시 이미지와 함께 올릴 계획이시면 알려주세요. 넣을 자리 표시도 해드릴 수 있어요!

🎬 프리미어 프로에서 크로마키 하는 법! (그린스크린 제거 꿀팁)

영상 편집하다 보면 그린스크린 배경을 제거하고 싶은 순간 많죠?
프리미어 프로에서는 몇 가지 간단한 단계만으로 크로마키 효과를 줄 수 있어요.
이 포스팅에서는 프리미어 프로로 크로마키 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 목차

  1. 크로마키란?
  2. 준비물 및 사전 세팅
  3. 크로마키 적용 방법 (Ultra Key)
  4. 크로마키 깔끔하게 다듬기
  5. 배경 이미지/영상 넣는 팁
  6. 마무리 및 꿀팁

1. 크로마키란?

크로마키(Chroma Key)는 특정 색상(보통 초록색 또는 파란색)을 투명하게 처리해서 배경을 다른 이미지나 영상으로 교체할 수 있는 기술이에요.

많은 유튜버들이 그린스크린을 활용해 배경을 제거하고 자신만의 공간을 꾸미는 데 쓰이죠!


2. 준비물 및 사전 세팅

  • 🎞 그린스크린으로 촬영한 영상
  • 💻 Adobe Premiere Pro 프로그램
  • 🖼 배경으로 사용할 이미지 or 영상

💡 배경 영상은 타임라인의 아래 트랙, 크로마키 영상은 위 트랙에 위치해야 해요!


3. 크로마키 적용 방법 (Ultra Key)

  1. Premiere Pro 실행 → 새 프로젝트 생성
  2. [파일] → [가져오기]로 영상과 배경 이미지/영상을 불러오기
  3. 타임라인에 영상 배치
    • 배경 영상: V1
    • 그린스크린 영상: V2
  4. [효과] 창 → “Ultra Key” 검색
  5. Ultra Key를 그린스크린 영상에 드래그해서 적용

4. 크로마키 깔끔하게 다듬기

  1. 그린스크린 영상 클릭
  2. [효과 컨트롤] → Ultra Key 항목 열기
  3. Key Color 옆 스포이트 클릭 → 영상 내 초록색 부분 클릭

이제 초록 배경이 사라졌을 거예요!

🎨 보정이 필요할 땐 아래 항목 조절:

  • Matte Generation → Transparency / Pedestal
  • Matte Cleanup → Choke / Soften
  • Spill Suppression → Desaturate / Range

➡️ 원하는 정도로 조절해 테두리를 자연스럽게 만들어줘요.


5. 배경 이미지/영상 넣기

  • 배경으로 쓸 이미지는 V1 트랙에 넣고, 그린스크린 영상은 V2 트랙 위에 유지!
  • 이미지가 영상보다 작으면 [효과 컨트롤] → [스케일] 조절로 화면에 꽉 차게 맞춰주세요.

6. 마무리 및 꿀팁

✅ 크로마키 시 참고 팁:

  • 조명이 고르게 비춰야 깔끔한 키잉이 가능
  • 초록색 옷은 피하기!
  • 퀄리티 높이려면 조명 + 고화질 영상이 핵심

📌 요약

프리미어 프로로 크로마키 하는 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 Ultra Key 적용
  • Key Color로 배경 색 클릭
  • 매트/스필 보정
  • 배경 영상 넣기!

 

 

프리미어 프로 워크스페이스 설정 가이드

프리미어 프로에서 효율적인 영상 편집을 위해 워크스페이스(Workspace) 설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기능과 도구를 적절하게 배치하면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편집 과정이 훨씬 편리해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프리미어 프로 워크스페이스 설정 방법을 단계별로 소개합니다.


1. 워크스페이스 기본 이해하기

프리미어 프로는 다양한 워크스페이스 프리셋을 제공합니다. 상단 메뉴에서 **"창(Window)" → "워크스페이스(Workspace)"**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주요 워크스페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편집(Edit): 기본 편집에 적합한 설정 (가장 일반적인 형태)
  • 색상(Color): 색보정 작업에 최적화
  • 오디오(Audio): 사운드 편집과 믹싱을 위한 설정
  • 이펙트(Effects): 영상 효과 추가에 집중
  • 그래픽(Graphics): 자막, 타이틀, 애니메이션 작업에 최적화

2. 워크스페이스 변경 및 사용자 지정

🔄 워크스페이스 변경하기

  1. 상단 메뉴에서 **"창(Window)" → "워크스페이스(Workspace)"**를 선택합니다.
  2. 원하는 워크스페이스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레이아웃이 변경됩니다.

✏️ 사용자 지정 워크스페이스 설정하기

  1. 패널 위치를 원하는 곳으로 드래그해 재배치합니다.
  2. 각 패널의 크기는 모서리를 드래그해 조절할 수 있습니다.
  3. 필요 없는 패널은 우측 상단의 "X" 버튼을 클릭해 닫을 수 있습니다.
  4. 새로운 패널을 추가하려면 상단 메뉴에서 **"창(Window)"**을 클릭한 후 원하는 패널을 선택합니다.

💾 사용자 지정 워크스페이스 저장하기

  1. 패널 배치를 마친 후, 상단 메뉴에서 **"창(Window)" → "워크스페이스(Workspace)" → "새 워크스페이스로 저장(Save as New Workspace)"**을 선택합니다.
  2. 원하는 이름을 입력한 후 **"확인"**을 클릭하면 나만의 워크스페이스가 저장됩니다.

3. 워크스페이스 초기화 및 복원

작업 도중 패널 위치가 엉망이 되었을 경우 다음 방법으로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1. 상단 메뉴에서 **"창(Window)" → "워크스페이스(Workspace)"**를 클릭합니다.
  2. 현재 선택된 워크스페이스 우측에 있는 "→" 아이콘을 클릭한 후 **"저장된 레이아웃으로 재설정(Reset to Saved Layout)"**을 선택하면 초기 상태로 복구됩니다.

4. 추천 워크스페이스 레이아웃

💡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추천 레이아웃

  • 소스 패널(Source Panel): 좌측 상단에 배치 (원본 미리보기)
  • 프로그램 패널(Program Panel): 우측 상단에 배치 (편집 결과 확인)
  • 타임라인 패널(Timeline Panel): 하단 전체에 배치 (컷 편집에 집중)
  • 프로젝트 패널(Project Panel): 좌측 하단에 배치 (미디어 소스 관리)
  • 이펙트 패널(Effects Panel): 우측에 배치 (효과 추가 및 설정)

5. 워크스페이스 활용 팁

✅ 자주 사용하는 패널 위치는 고정시켜 혼란을 줄이세요.
✅ 편집 스타일에 맞는 워크스페이스를 여러 개 저장해두면 더욱 효율적입니다.
키보드 단축키를 활용하면 워크스페이스 간 전환이 빠릅니다. (예: Ctrl + Shift + 1 → 편집, Ctrl + Shift + 2 → 색보정)


이렇게 설정한 워크스페이스를 통해 편집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더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만의 맞춤형 워크스페이스를 만들어보세요! 🚀

 

 

애프터 이펙트로 시퀀스 연결 (Dynamic Link)

Adobe의 Dynamic Link 기능을 사용하면 프리미어 프로에서 애프터 이펙트 프로젝트를 실시간으로 연결해 편집할 수 있습니다.

프리미어 프로에서 타임라인의 특정 클립을 선택합니다.

상단 메뉴에서 "편집(Edit)" → "Adobe After Effects 구성으로 바꾸기(Replace with After Effects Composition)"를 클릭합니다.

해당 클립 선택 후, 우클릭해도 좋아요 !

애프터 이펙트가 자동으로 실행되며, 새 프로젝트 생성 창이 나타납니다.

 

프로젝트 이름과 저장 경로를 지정한 후 "저장(Save)"을 클릭합니다.

애프터 이펙트에서 해당 클립이 컴포지션(Composition) 형태로 표시됩니다.

🔄 Dynamic Link 기능을 사용하면 애프터 이펙트에서 작업한 내용이 프리미어 프로에 자동 반영됩니다.


3. 애프터 이펙트에서 모션 그래픽 제작하기

애프터 이펙트에서 선택한 클립을 기반으로 효과, 텍스트, 애니메이션 등을 추가합니다.

모든 편집이 끝나면 별도의 저장 없이 프리미어 프로로 돌아가면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 프리미어 프로에서 애프터 이펙트에서 만든 모션 그래픽을 확인하며 추가 편집이 가능합니다.


4. 애프터 이펙트에서 제작한 영상 내보내기

만약 애프터 이펙트에서 제작한 클립을 별도의 영상 파일로 저장하고 싶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애프터 이펙트에서 상단 메뉴의 **"파일(File)" → "내보내기(Export)" → "Adobe Media Encoder Queue로 추가"**를 클릭합니다.

Adobe Media Encoder가 실행되며, 내보내기 설정 창이 나타납니다.

형식(Format) 및 사전 설정(Preset)을 설정한 후 "시작(Start)" 버튼을 클릭하면 렌더링이 시작됩니다.


5. Dynamic Link로 작업 시 유의사항

✅ Dynamic Link를 사용할 경우 프로젝트 파일이 동일한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
✅ Dynamic Link는 실시간으로 연동되므로 저장 시 항상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됩니다.
✅ 애프터 이펙트의 복잡한 효과는 렌더링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 완료 후 효율적인 내보내기 설정을 추천합니다.


6. 추천 Dynamic Link 활용 사례

🎯 유튜브 인트로/아웃트로 제작 - 스타일리시한 타이포그래피, 로고 애니메이션 추가
🎯 트랜지션 효과 강화 - 다이나믹한 화면 전환 효과
🎯 영화 같은 타이틀 시퀀스 - 독창적인 텍스트 애니메이션 제작
🎯 특수효과 추가 - 불꽃, 파티클, 글리치 효과 등 고급 시각적 효과 연출

+ Recent posts